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폴란드] 주간 경제 동향('25.01.20.~27.)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2-03
조회수
73

(정보제공 : 주폴란드대사관)



폴란드 주간 경제 동향('25.01.20.~27.)




가. PGE, PGE PAK 지분 전체 인수 의향 발표


  ㅇ 1.23일 PGE는 ZE PAK 그룹이 소유한 PGE PAK Energia Jadrowa社* 지분 50%와 PAK CCGT社** 지분 100%의 거래 조건을 협상하는 구속력 없는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양측은 2025.6월까지 지분 인수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함.


     * PGE와 코닌 원자력 발전소 건설 사업을 진행 중이며, PGE와 ZE PAK은 동사의 지분을 각각 50%씩 보유 중

    ** 아다무프 前 석탄 화력 발전소 부지에 600 MWe급 가스-증기 복합 발전소 건설을 진행 중


   - 자세한 인수 조건은 외부 법률, 재무, 기술, 환경 자문가와 함께 기업 실사(due dilligence)를 실시한 후 결정될 것임.


나. 인프라


1) IATA, 폴란드 항공 승객 전망


  ㅇ 신공항사(CPK)의 의뢰로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2024-2060년 폴란드 항공 승객을 전망*하였으며, 신공항사(CPK)는 폴란드의 항공 수요 대응을 위해 아래와 같은 조치를 계획 중임.


* 2025-60년 IATA의 바르샤바 쇼팽 공항/신공항 승객수(단위 : 백만)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2040

2045

2050

2055

2060

25.2

25.8

26.0

28.6

29.8

30.8

31.4

32.7

34.0

35.7

40.7

46.8

51.5

57.0

62.0


   - (쇼팽 공항 확장) 2032년까지 쇼팽 공항을 확장*하고, 2025-28년 일일 운항 횟수를 점차 증대하여 2029년 일 운항 횟수는 약 800회가 될 예정


     * 쇼팽 공항 확장 공사 완료시 연 승객 수용 숫자는 최대 3,300만 명


   - (상업 운항의 집중화) 2032년 이후 쇼팽 공항의 모든 상업 운항은 신공항으로 이전되며, 2035년 기준 신공항 이용객의 37%는 환승객일 것으로 전망


   - (상황에 따라 신공항 확장 가능) 신공항의 메인 터미널은 확장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항공 수요에 따라 터미널을 확장 예정


2) 신공항사, EU에 10억 PLN 자금 신청


  ㅇ 신공항사(CPK)는 Connection Europe Facility 2021-2027* 프로그램을 통해 3건의 자금 지원 신청서(11억 8천만 PLN)를 EU 집행위에 제출함.


     * EU의 교통, 에너지, 디지털 인프라 개발과 현대화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교통 부문에 75%가 배정되어 있음.


   - 우치 파브리츠나-우치 레트키니아 구간 건설 고속철 건설 : 8억 4,550만 PLN

   - 신공항 철도 허브 설계 문서 개발 : 7,450만 PLN

   - 카토비체-폴란드 국경 구간 설계 문서 개발 : 7,910만 PLN


3) 시비노우이시치에 LNG 터미널 확장 공사 완료


  ㅇ 1.22일 시비노우이시치에 LNG 터미널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이로 인해 동 터미널의 연간 처리 용량은 62억 m3에서 80억 m3**으로 증대되었음.


     * 동 터미널은 2011년 건설되기 시작하여 2015년부터 운영되었음. 2019년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확장 공사 비용은 10억 PLN으로 그 중 4억 6,100만 PLN은 EU 기금을 통해 조달함.

    ** 폴란드의 연 가스 수요는 약 190억 m3


4) 스발바르 제도 내 물류?연구 센터 개소


  ㅇ 1.23일 스발바르 제도 내 물류?연구 허브인 BERA 센터가 개소하였으며, 동 센터는 △기후 변화, 환경 보호, 지질 연구 등을 수행하는 폴란드 과학자 지원, △채집한 샘플 수집 및 보관, △채집한 샘플의 폴란드 운송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할 것임.


다. 폴란드 전자상거래협회, 중국산 저가 제품에 대한 대응 요청


  ㅇ 폴란드 전자상거래협회는 경쟁 왜곡을 방지하고 유럽 전자상거래 기업들의 경쟁력을 보호하기 위해 150 유로 이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중단*해야 한다고 함.


     * 사스스타니셰프스카(P. Sass-Staniszewska) 폴 전자상거래협회장은 수입 상품의 65%가 관세 면제를 위해 낮은 가격으로 신고되는바, 단순히 관세 면제 기준을 폐지하는 것만으로는 공정한 경쟁을 보장할 수 없으며, EU 관세 동맹의 전면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함.


  ㅇ 니엠치츠키(I. Niemczycki) 총리실 차관은 폴란드의 EU 순회의장국 기간 동안 관세 개혁, 150 유로 관세 면제 기준 삭제 문제가 논의될 예정이며, 2025.6월 EU 이사회에서 공통 입장을 도출하는 것이 목표라 함.


라. 거시경제


1) 2024.3분기 GDP 대비 재정적자


  ㅇ 1.22일 Eurostat은 2024.3분기 폴란드의 GDP 대비 재정적자를 6.7%로 발표함.


2) 2024.12월 기업 평균 임금


  ㅇ 1.22일 통계청(GUS)은 2024.12월 기업 평균 임금을 전년대비 9.8% 상승한 8,821.25 PLN(2,076 유로)라 발표함.


3) EU 재무장관, EDP 관련 폴란드에 권고


  ㅇ 1.21일 EU 재무장관들은 2028년까지 초과적자 시정절차(EDP)*를 이행하기 위해 폴란드의 순지출 명목 성장률**이 2025년 6.3%, 2026년 4.4%, 2027년 4%, 2028년 3.5%를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함.


     * 재정적자가 GDP의 3%를 초과하거나 초과할 위험이 있는 경우, 공공부채가 GDP의 60%를 초과하는 경우에 시행됨. EDP 적용국은 4년 혹은 7년간 GDP의 최소 0.5% 또는 GDP의 0.5~1% 수준의 정부 부채를 감축해야 함.

    ** 정부가 지출한 금액이 전년 대비 얼마나 증가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재정 건정성 관리에 쓰임


마. 신재생·친환경


1) LG에너지솔루션, PGE 에너지저장시설 프로젝트 계약사 선정


  ㅇ 1.22일 PGE는 에너지저장시설(ESS)* 프로젝트 파트너로 LG에너지솔루션을 선정하였다고 발표하였으며, 동사는 15억 5천만 PLN(약 6천억원)의 계약금을 제시하였고 턴키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될 예정임.


     * 프로젝트 개요

       - 위치 : 자르노비에츠(PGE의 양수 발전소가 있는 지역)

       - 기간 : 2029년 완공 목표

       - 규모 : 263 MW 출력(13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 가능), 900 MWh 저장용량(인구 10만 중소도시가 1시간 동안 사용 가능) 목표로, 유럽 최대 수준


2) 2024년 탄소배출권 판매 수익


  ㅇ 폴란드 국립배출균형관리센터(KOBiZE)는 2024년 폴란드의 EU 탄소배출권 판매 수익이 38억 유로(전년대비 16억 유로 감소)라 발표함.


바. 경제전망


1) 경제연구소 경제전망


  ㅇ 1.20일 경제연구소(PIE)는 폴란드의 2024-25년 경제성장률*이 중동부 유럽 국가 중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하며, 투자 증가**가 2025년 폴란드의 경제 성장 동력으로 평가함.


     * 2024년 2.8%, 2025년 3.5%

    ** 2025년 전년대비 7% 상승


     ※ (참고) V4 국가의 2024-25년 경제성장률(PIE 전망)

        - 체코 : 2024년 1%, 2025년 2.3%

        - 슬로바키아 : 2024년 2.2%, 2025년 2.1%

        - 헝가리 : 2024년 0.8%, 2025년 2.4%


2) IMF 경제전망


  ㅇ 1.21일 IMF는 2025-26년 폴란드의 경제성장률을 각각 3.5%, 3.3%로 전망하며, 향후 2년간 폴란드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 평가함.


   - IMF는 EU 기금 수령 및 가계 소비 증가가 경제 성장을 주도한다고 분석


3) 무디스 경제전망


  ㅇ 무디스는 2025년 폴란드의 경제성장률을 3.5%로 전망하였으며, 국방비 지출 및 EU 기금 유입이 폴란드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 전망함.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